목록Coding (9)
study

문자열의 format( ) 함수 :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{ }의 개수 = format( ) 함수의 매개변수 개수 IndexError 예외 : { }의 개수 > format( ) 함수의 매개변수 개수 시 발생 format( ) 함수의 다양한 기능 - 정수 출력 : {:d} int 자료형의 정수를 출력하겠다고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것 {:5d} 5칸을 잡고 뒤에서부터 출력 {:10d} 10칸을 잡고 뒤에서부터 출력 {:05d} 5칸을 잡고 뒤에서부터 출력한 후, 빈칸을 0으로 채움 부호가(-)가 있을 때는 맨 앞자리를 부호로 채우고 나머지 빈 곳을 0으로 채움 {:+d} 양수의 경우 + 기호를 붙여줌 {: d} 공백을 두면 양수의 경우 기호 위치를 공백으로 비어둠 {:=+5d} 기호를 앞으로 밀기 {:+05..

변수 =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 (Pi)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 3가지 1.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2.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 3. 변수를 참조하는 방법 ex) pi = 3.141592 숫자 자료에 이름을 붙인 것이기 때문에 숫자 연산 가능 But, 문자열 연산은 불가능 * C, C++, 자바, C# 등에서는 변수를 사용할 때 변수의 자료형에 대해 미리 선언해주어야 함 [자바, C의 경우] int pi But, 파이썬은 변수에 자료형 지정 X 복합 대입 연산자 = 기존의 연산자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 - 숫자에 대입할 수 있는 복합 대입 연산자 += 숫자 덧셈 후 대입 -= 숫자 뺄셈 후 대입 *= 숫자 곱셈 후 대입 /= 숫자 나눗셈 후 대입 **= 숫자 제곱 후 대입 - 문자열에..

정수형 = 소수점이 없는 숫자 (integer) 실수형 = 소수점이 있는 숫자 (floating point, 부동 소수점) └소수점이 동동 부유하며 움직인다. (ex. 52.273 = 0.52273 x 10²) *파이썬에서의 지수 표현 ex) 0.52273e2 = 52.273 0.52273e-2 = 0.0052273 숫자 연산자 -사칙 연산자 : +, -, *, / -정수 나누기 연산자 : //, 숫자를 나누고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떼어버린 후, 정수만 남김 -나머지 연산자 : %,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를 구함 -제곱 연산자: ** 연산자의 우선순위 : 곱셈, 나눗셈 > 덧셈, 뺄셈 *문자열 연산자의 우선순위 : 마찬가지로 곱셈 연산자(*)가 우선 TypeError 예외 : 서로 다른 자..

문자열 string = 메일 제목, 메세지 내용 등 → ex) "안녕하세요", "Hello World" 숫자 number = 물건의 가격, 학생의 성적 등 → ex) 52, 273, 103.32 불 boolean = 친구의 로그인 상태 등 → ex)True, False 자료형 data type = 자료의 형식 type() 함수 ex) >>>print(type("안녕하세요")) >>>print(type(273)) int= 정수 integer 구문 오류 Syntax Error ex) ""안녕하세요"라고 말했습니다" (x) '"안녕하세요"라고 말했습니다' (o) 이스케이프 문자 escape character = 역슬래시(\) 기호와 함께 조합 \" : 큰따옴표를 의미 \' : 작은따옴표를 의미 \n : 줄바꿈..